kubectl 명령어 실행시 default로 $HOME/.kube/config 에 config 파일을 확인함. 여기에 key, 인증서, 서버, CA 등의 정보를 저장해 놓으면 매번 kubectl 실행 시에 해당 정보를 적지 않아도 된다. kubeconfig 파일의 세가지 type Cluster 개발, 운영, 혹은 다른 Managed kubernetes 등의 cluster 정보 --server 옵션과 인증서 옵션이 이 곳에 저장됨 config yaml 파일에 certificate-authority에는 ca.crt파일의 절대 경로 입력하는 것이 좋음 certificate-authority-data 값에 ca.crt가 base64로 encode된 값을 넣을 수도 있다. User cluster 에 접근하는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