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ubernetes는 여러 개의 custom scheduler를 선언하는 것을 허락한다.
- binary 다운받아서 --scheduler-name 옵션의 이름 변경하여 실행
- pod definition file에서 scheduler 지정하면 원하는 scheduler로 pod 실행시킬 수 있음.
spec.schedulerName: 에 scheduler name 설정하면 됨.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pod는 pending state로 유지됨 - scheduler는 pod 형식으로 배포되기 때문에 static pod의 manifests가 위치한 folder에서 yaml 파일 copy 후 scheduler name 옵션 추가하고 저장하면 kubelet이 custom scheduler 배포함
- --leader-elect 옵션: 여러 scheduler 중 리더 scheduler 을 정하여 scheduling activity를 설정하게 해줌.
- true가 여러개려면 master node도 여러 개가 있어야 하고, 추가적으로 --lock-object-name 옵션 줘야 함. 그러므로 하나의 master node에서는 false로 수정함.
- 기존 scheduler와 port도 겹치지 않도록 port 값도 주어야 함
- default scheduler에는 --scheduler-name 옵션이 없어서 custom scheduler는 이 값을 주고 실행시켜야 이름이 다르게 생성됨
- 어떤 scheduler가 실행됐는지 보려면 kubectl get events 명령어 실행하거나, custom scheduler 의 log를 kubectl logs로 봄
'C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0) | 2021.09.08 |
---|---|
Monitoring & Logging (0) | 2021.09.08 |
Static Pods (0) | 2021.09.07 |
DaemonSets (0) | 2021.09.05 |
Node Selector & Affinities (0) | 2021.09.05 |